라이트룸4 라이트룸 사진 보정을 위한 기본 메뉴 설명 3편(완) - 효과, 세부 사항과 광학, 모양 지난 글 2023.10.27 - [Tool/라이트룸Lightroom] - 라이트룸 사진 보정을 위한 기본 메뉴 설명 1편 - 인터페이스 히스토그램 프리셋 2023.11.02 - [Tool/라이트룸Lightroom] - 라이트룸 사진 보정을 위한 기본 메뉴 설명 2편 - 빛, 색상 드디어 마지막 편이네요. 편집 창 - 효과 사진에 효과를 주는 옵션들이다. 텍스처(texture): 사진의 질감을 설정한다. 왼쪽으로 갈수록 스노우 어플 같은 뽀얀 효과를 준다. 오른쪽으로 갈수록 질감이 거칠어지며 선명해지는 효과를 준다. 부분 대비(clarity): 각 픽셀의 모서리 부분을 강화시켜준다. 대비값이 높아질수록 선이 날카로워지며 명료해지고, 낮을수록 선이 무뎌지며 사진이 흐려진다. 디헤이즈(dehaze): 헤이즈h.. 2023. 11. 3. 라이트룸 사진 보정을 위한 기본 메뉴 설명 2편 - 빛, 색상 지난 글 2023.10.27 - [Tool/라이트룸Lightroom] - 라이트룸 사진 보정을 위한 기본 메뉴 설명 1편 - 인터페이스 히스토그램 프리셋 편집창 - 빛 사진의 빛과 관련한 옵션이다. 옵션 바를 조정하면 미리보기의 사진에 바뀐 값이 반영되며 빛이란 글자 오른쪽에 있는 눈 모양이 생긴다. 이 눈모양을 눌러 원본과 수정 전의 모습을 비교하여 볼 수 있다. 값을 수정하고 이름을 클릭하면 '재설정'이라고 뜨는데, 0의 값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숫자 부분을 클릭하면 숫자가 입력 가능해지며 원하는 만큼의 정확한 양을 넣을 수 있다. 노출(Exposure): 빛의 양을 결정한다. 밝기라고도 할 수 있겠다. 왼쪽으로 내리면 어두워지고 오른쪽으로 올리면 밝아진다. 대비(Contrast): 밝은 색과 어두.. 2023. 11. 2. 라이트룸 사진 보정을 위한 기본 메뉴 설명 1편 - 인터페이스 히스토그램 프리셋 현재 라이트룸은 모바일과 PC 양쪽 생태계의 연동성을 위시한 어플로 자리잡고 있다. 그렇기에 라이트룸의 장점은 뭐니뭐니해도 핸드폰에 찍은 사진을 컴퓨터에서 작업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능의 편의성이라 생각한다. 모바일이든 PC이든 설정과 보정 방법은 동일할만큼 둘은 연동성이 좋다. 다만, 라이트룸 어플의 경우 마스킹과 브러쉬 기능은 유료로 제한되어있다. 기본 인터페이스 라이트룸의 인터페이스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편의상 이름을 붙여보면, 하나는 사진이 띄어지는 미리보기 창 둘은 오른편에 보이는 편집 창 셋은 상단과 하단의 보조도구 창이다. 미리보기 창은 우리가 편집할 사진을 보여준다. 편집 창에서는 본격적인 사진의 보정 작업을 실행한다. 편집 창에서 설정한 내용은 미리보기 창에 실시간으로 반영된다. 보.. 2023. 10. 27. 어도비 포토샵 라이트룸 소개 핸드폰으로 쉽게 하는 사진 보정 가끔 인스타에서 멋드러진 사진을 보고 있다보면 나도 정성 좀 들여 후보정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는 사진 보정 어플 성능이 좋아져서 모바일에서도 충분한 보정을 할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예전에는 를 많이 사용했는데, Adobe Photoshop을 구매하면서 세트로 산 을 사용해 보기로 했다. 원래는 포토샵의 기능 중 하나였으나 이 기능만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져 사용하기 쉽게 분리되었다. 라이트룸의 큰 메뉴 네 가지를 간단하게 살피며 소개를 해볼까한다. 라이트룸은 부분 유료 어플이라 유료 버전을 사용 중인 저와 여러분들의 무료 버전과 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요새 기본 카메라에는 기본 보정 기능이 잘 들어가 있어 굳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좀만 더 신경을 써주면 사진 결과물은 훨.. 2023. 10. 26. 이전 1 다음